식탁을 풍성하게 만드는 최고급 어종인 갈치. 누구에게나 친근한 물고기로서 여름과 가을에 루어로 쉽게 낚을 수 있다.
1. 습성과 낚시특성
구분연안낚시배낚시시즌난이도필드장르
7월~11월 | |
초급 | 중급 |
방파제 | 배낚시 |
라이트게임 | 수직지깅 |
'야행성 어류, 면도날 이빨에 대비해야'
갈치 유영모습과 1일 이동
갈치낚시엔 특별한 목줄이 필요하다. 날카로운 이빨을 갖고 있어 웜 루어를 잘라먹거나 일반적인 목줄은 쉽게 잘려나가기도 한다. 가는 와이어나 케블러 합사를 목줄로 사용하며, 일반 낚싯줄이라면 굵은 줄을 써야 한다. 비늘이 없고 만지면 은분이 묻어나는데 이 은분은 구아닌이라는 유기염 성분으로 인조진주의 광택재료다. 특이하게도 머리를 위로 하고 수직으로 서서 헤엄치는 유영모습을 갖고 있다. 낮에는 깊은 모래나 펄바닥에 있다가 밤이 되면 수면으로 올라오는 특성이 있어 낚시는 초저녁부터 새벽까지 주로 밤에 행해진다.
갈치 연안낚시 장비 채비
여수 돌산도 방죽포방파제에서 지그헤드로 갈치를 낚고 있다.
축광램프로 갈치낚시용 축광웜에 빛을 쪼이고 있다.
갈치전용 지그헤드리그
2. 연안낚시
'특히 잘 낚이는 항만과 방파제 따로 있다'
■ 태클&채비
낚싯대 : 길이 6.6~7ft, 강도는 미디엄라이트(ML)가 기준. 낚시하는 장소가 수면에서 높은 경우라면 8~9ft의 연질 농어용 낚싯대도 OK.
릴 : 2500번급 소형 스피닝릴
라인 : 나일론 2호(6~10lb) 전후를 기준으로 사용한다. 어두울 때 도움이 되는 형광색 줄도 좋다. 날카로운 이빨에 잘리는 것을 대비해 짧게 쇼크리더를 연결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 쇼크리더는 4~5호(20lb)의 나일론이나 플로로카본, 길이는 100~150㎝ 정도로 충분하다. 그래도 불안하다면 와이어나 케블러줄을 10~20㎝ 정도 이어서 덧달아도 좋다.
루어 : 지그헤드 리그(지그헤드 1/16~3/8oz, 덧바늘 달린 것, 그럽 3인치), 싱킹 미노우(길이 9㎝ 전후), 스푼(10~20g).
갈치 지깅 장비 채비
■ 루어 활용방법
각각의 루어를 아주 느리게 단순 릴링한다. 복잡한 액션을 주지 않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기본적으로 표층부터 차례로 갈치의 유영층을 찾아가며 릴링한다.
갈치 루어 활용법
■ 포인트 찾기
갈치 포인트 조건
주요 먹이인 멸치나 기타 작은 물고기 무리를 따라 움직이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작은 물고기들이 많이 회유하는 장소를 찾는 것이 열쇠다. 먹이고기의 유무가 그날의 조과를 좌우한다. 먹잇감이 되는 작은 물고기 떼가 출현하는 항만, 방파제, 제방, 갯바위가 모두 포인트다. 이런 장소란 조류 소통이 좋고 수심이 어느 정도 확보되어 있는 장소다. 또한 갈치는 하루 동안에 낮에는 깊은 곳, 밤에는 얕은 곳을 왕복하는 습성이 있으므로 가까운 거리에 수심이 아주 깊은 장소가 있어야 갈치 낚시터가 된다.
이외에 산란을 위한 회유도 있는데 그 코스가 매년 그렇게 다르지 않다는 것도 알아두면 좋다. 즉 낚이는 장소와 낚이지 않는 장소가 구분되어 있으므로 갈치 낚시실적이 좋은 장소는 매년 잘 낚이고 낚이지 않다가 갑자기 낚이는 낚시터는 드물다는 사실.
3. 배낚시
'선장 안내 따라하면 초보자라도 쉽게 낚아'
■ 태클&채비
낚싯대 : 5~6ft의 연질 갈치전용 지깅대, 또는 동일한 길이의 미디엄(M)~미디엄헤비(MH)의 배스낚시용 낚싯대면 충분하다.
릴 : 2500~3000번급 중소형 스피닝릴이나 양축릴, 다 사용할 수 있다. 녹 방지 기능이 있는 제품이라면 배스낚시용 베이트캐스팅릴도 사용할 수 있다.
라인 : PE 0.8~2호를 사용한다. 선상에서 수심파악이 용이하도록 일정 길이마다 여러 색상으로 만들어진 것이나 수심마킹이 되어있는 낚싯줄을 사용하는 편이 좋다. 쇼크리더는 나일론이나 플로로카본 30~50lb 줄을 2~4m 연결한다. 갈치의 날카로운 이빨에 대한 대책으로 쇼크리더의 끝부분 20㎝ 정도를 두 겹으로 쓰거나 와이어, 케블러 줄을 연결해도 좋다.
루어 : 메탈지그(80~150g, 바늘은 뒤쪽에 #1~1/0 크기의 트레블훅을 기준으로 하고 위쪽에 #4~2 크기의 어시스트 훅을 동시에 덧달아 사용하면 효과적)
■ 루어 활용방법
특별한 지깅동작 없이 단순한 릴링으로도 좌우로 잘 움직이는 형태의 지그가 유리하다. 갈치는 불규칙하고 갑작스런 움직임이나 너무 빠른 속도에는 반응하지 못하므로 일정하고 부드럽게 지그를 움직이는 것이 필요하다.
입질이 오는 수심층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표층에서 중층 사이에서 대부분의 입질이 오므로 입질수심이 파악되었다면 지그를 일부러 밑바닥까지 내릴 필요는 없다.
갈치 지깅방법
■ 포인트 찾기
야간 배낚시는 배에 설치된 조명에 의해 모여든 작은 물고기에 의해 자동적으로 어군이 형성되므로 신경 쓸 필요가 없다. 선장이 정해준 장소에서 즐기면 OK.
면도날처럼 날카로운 갈치의 이빨
가을이면 갈치 낚시인들로 불야성을 이루는 진해 명동방파제
[Check Point]
★ 갈치의 날카로운 이빨은 살짝 당하도 자신도 모르게 상처를 입기도 한다. 플라이어를 준비해 바늘을 빼자.
★ 밤낚시 준비는 철저히.
★ 입이 큰 갈치에게는 덧바늘이 효과적이다.
★ 루어의 화려한 액션은 역효과.
★ 포인트는 베이트피시 + 인근에 깊은 수심 + 조과가 확인된 장소.
[네이버 지식백과] 갈치 [Cutlass fish] (루어낚시 첫걸음-바다편, 2011. 10. 15., 조홍식)
'낚시 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헤드 미끼에 쓰일 경단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0) | 2022.01.05 |
---|---|
"릴찌낚시의 첫걸음" 구멍찌를 알아보자! (0) | 2022.01.05 |
갈치 루어낚시 (0) | 2022.01.05 |
도래류 모음 17종 (한국 해동 제품) (0) | 2022.01.05 |
수심에 따른 피싱 라인의 색깔 변화 (0) | 2022.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