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낚시에서 수많은 종류의 조류를 만나게 됩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만나는 것이 좌에서 우로 흐르는 좌.우 조류일것입니다.
하지만 조류를 보는 법을 깨우치려면 각각의 조류에 대해서 알고 넘어가야 합니다.
그래서 바다의 존재하는 조류들의 이름과 그것이 어떤 조류인지를 간략하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반류(counter current)
주된 조류의 흐름이 불규칙적인 해안선을 만나 규칙적인 방향으로 흐르던 조류가 때때로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조류를 반류라고 합니다.이 반류에는 적도 반류라 하여 북위 3~10도 사이에서 적도를 따라 서에서 동으로 흐르는 해류가 있으며 또 만류 반류라 하여 멕시코 만류와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해류가 있습니다.
와류(eddies)
조류가 격렬한 좁은 수도 등에 있어서 와류가 생기는데.이와 같이 와류를 소용돌이(whirlpool)라고 합니다.
말 그대로 두 가지 이상의 조류가 서로 만나 뒤엉켜 소용돌이를 만든 조류를 와류합니다.
일명 예전 이순신 장군이 명량해전 우돌목에서 일본을 이긴데 기여한 조류라고 보시면 됩니다.
급조(overfalls)
바닷속 지형 기복이 심하여 흔히 말하는 속 조류가 수중여를 지날때 표층에 파상을 만들어 냅니다.이러한 조류를 급조라고 불립니다.
격조(tide race)
급조가 심하게 형성되는 것을 격조라 하는데.
급조와 혼돈이 갈수 있지만 알고 보면 다르다는 것을 알수가 있을겁니다.
본류
조류의 원줄기를 말하며 흔히 말하는 낚시에서는 빠른 조류대를 본류라고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낚시인들이 본류대라고 하는 종류는 원줄기가 아닌 그것에서 파생해 나온 2차적인 조류를 말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을 해서 지형적인 영향을 받지 않고 혼자만의 힘으로 흘러가는 조류를 말하는 것입니다.
지류
본류에서 잘려나온 가닥 가닥의 조류를 통틀어 지류라고 합니다.
여기서 한가지 지류는 잘려 나온 조류만의 지류가 아니라 갯바위 가장 자리또는 피어나 방파제 끝부분에서 생겨난 잔잔한 지류가 본류로 흡수되는 조류 역시 지류라고 합니다.
횡조류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좌에서 우.우에서 좌로 흐르는 일반적인 상황의 모든 조류를 말합니다.
종조류
횡조류의 반대 개념입니다.
내가 낚시하는 앞으로 밀고 들어오는 조류는 낚시를 어렵게 만들지만,밀고 나가는 조류는 낚시꾼들이 좋아하는 조류라 할수 있습니다.
이형조류
일반적인 방향으로 흘려가던 조류가 외적 내적인 요소를 통해 층간 흐름이 달라지는 상황을 통틀어 말합니다.
흔히 말해 겉과 속이 다른 조류를 말하며 바람의 방향 역시 많이 받는 조류를 말합니다.
대조
조수의 간만이 가장 큰때의 밀물과 썰물을 대조라 합니다.
이것을 ""대조류"""부르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조목(tide bore)
한 두개의 조류가 서로 만나 생긴 지점 혹은 멈춰있는 조류를 지류가 스칠때 하나의 조류가 생기면서 만들어지는 조류의 눈을 말합니다.
용승조류
내륙으로 움직이던 밀물(조류)과 외해로 나가던 큰 강에서 내려오는 민물이 만나 서로 부딪히면서 그 물이 나무와 같이 수표면 위로 솟구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반탄조류
갯바의 가장자리에 부딪친 조류가 다시 외해로 팅겨져 나가는 조류를 통틀어 반탄조류라 합니다.
물론 수중여 에 부딪친 조류가 다시 튕겨져 나온것 역시 반탄 조류가 하겠습니다.
훈수지대
흔히 두개의 조류가 만나는 지점을 훈수지대라 생각을 하는데,독립적인 여를 중심으로 위 아래를 통과하던 조류가 만나는 곳을 훈수지대라 합니다.
감섬돔 낚시에서 최고의 포인트라 할수 있죠
합수머리
서로 다른 여러가지 조류가 한곳에 만나는 곳의 처음 지역을 말합니다.
앞에서 이야기한 훈수와는 다르게 특정지역을 지나던 조류가 두 가닥으로 나뉘었다가 다시 하나가 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조류가 모이는 지점을 말합니다.
조경지대<------ 제가 제일 좋아하는 낚시 조류 입니다.ㅋㅋ
일정하게 흐르던 조류가 수중여 또는 지형적인 요소로 인해 그 흐름이 느려지면서 만들어지는 지역을 말합니다.
눈으로 확인 가능한 것이 부유물들이 모이는 지역등을 들수 있습니다.
물돌이(정조 혹은 계류 stand of tide)
밀물과 썰물의 사이 점, 즉 밀물(썰물)이 끝나고 썰물(들물)로 조류의 방향이 바뀌기 직전(고조와 저조 전후) 잠시 동안 조류가
정지를 한 상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여러가지 조류에 대한 용어들을 다시한번 짚어보자는 뜻에서 한번 글을 올려보았습니다..
일부 퍼온글도 있습니다.
'낚시 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를 뜨고 난 다음 도마 관리법 (0) | 2020.11.01 |
---|---|
‘6짜감성돔(쉽헤드)’을 낚기 위한 기초 테크닉 (0) | 2020.11.01 |
기본적인 원줄 조작법 (0) | 2020.11.01 |
조류 세기에 따른 기본적인 채비 구성법(찌낚시일 경우) (0) | 2020.11.01 |
목줄 교체 타이밍 (0) | 2020.11.01 |